센트럴 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트럴 리그는 1949년 일본 프로 야구의 분열로 창설된 리그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주니치 드래건스, 한신 타이거스 등을 포함한 6개 구단이 소속되어 있다. 2020년부터는 JERA 센트럴 리그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정규 시즌,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거쳐 일본 시리즈 우승팀을 가린다.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가장 많은 39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7년부터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도입하여 포스트시즌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트럴 리그 -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센트럴·퍼시픽 교류전은 일본 프로 야구의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소속 구단들이 정규 시즌에 맞붙는 경기로, 리그 간 전력 평준화와 팬들을 위한 볼거리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경기 수는 축소되었고, 퍼시픽 리그가 통산 성적에서 우세하다. - 194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퍼시픽 리그
퍼시픽 리그는 1949년 태평양 야구 연맹으로 출범하여 198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6개 구단으로 구성되어 난카이, 니시테쓰, 한큐, 세이부 등의 강세 시대를 거쳐 스즈키 이치로, 마쓰자카 다이스케 같은 스타 선수들의 활약과 돔 구장 시대, 지역 밀착 정책, 리그 재편, 그리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왕조 시대를 거쳐 1975년부터 지명 타자 제도를 운영하며 센트럴 리그와의 교류전 및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통해 일본 시리즈 진출팀을 결정한다. - 194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DDR 오버리가
DDR 오버리가는 1948년 동독에서 출범하여 1991년 폐지될 때까지 운영된 프로 축구 리그로, 베를리너 FC 디나모가 10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했다. - 일본 야구 기구 - 퍼시픽 리그
퍼시픽 리그는 1949년 태평양 야구 연맹으로 출범하여 198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6개 구단으로 구성되어 난카이, 니시테쓰, 한큐, 세이부 등의 강세 시대를 거쳐 스즈키 이치로, 마쓰자카 다이스케 같은 스타 선수들의 활약과 돔 구장 시대, 지역 밀착 정책, 리그 재편, 그리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왕조 시대를 거쳐 1975년부터 지명 타자 제도를 운영하며 센트럴 리그와의 교류전 및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통해 일본 시리즈 진출팀을 결정한다. - 일본 야구 기구 - 클라이맥스 시리즈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일본 시리즈 진출 팀을 결정하는 포스트시즌 토너먼트로서, 각 리그 상위 3팀이 참가하여 최종 우승팀을 가리며,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일부 리그에서 취소되거나 축소 진행되었다.
센트럴 리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센트럴 리그 |
로마자 표기 | Sentoraru Rigu |
약칭 | 세 리그 |
일본어 표기 | セ・リーグ |
정식 명칭 | JERA 센트럴 리그 |
종류 | 야구 리그 |
창립일 | 1949년 12월 15일 |
시작일 | 1950년 |
국가 | 일본 |
소속팀 수 | 6개 |
최근 우승팀 | |
우승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39회) |
최다 우승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39회) |
운영 | |
운영 주체 | 일본 프로 야구 조직 센트럴 리그 운영부 |
팀 목록 | |
소속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주니치 드래건스 한신 타이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
로고 | |
![]() |
2. 연혁
1949년 일본 프로 야구 재편 문제로 일본 야구 연맹이 분열되면서 센트럴 리그가 탄생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 주니치 드래건스, 쇼치쿠 로빈스를 중심으로 오사카 타이거스[36], 다이요 웨일스, 히로시마 카프, 니시닛폰 파이레츠가 합류하여 7개 구단으로 리그가 발족되었다. 오다큐 전철의 구단 소유를 통한 리그 참여가 무산되면서[37] 8개 구단 체제는 실현되지 못했다. 1950년 고쿠테쓰 스왈로스가 합류하여 8개 구단이 되었으나, 1951년 니시닛폰 파이레츠가 니시테쓰 클리퍼스와 합병하여 리그를 탈퇴했고, 1952년 다이요 웨일스가 쇼치쿠 로빈스를 흡수 합병하여 6개 구단이 되었다. 이후 구단 수의 증감 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53년 다이요 쇼치쿠 로빈스가 시모노세키에서 오사카로, 1955년 다이요 웨일스로 팀명을 변경하여 가와사키로 이전한 후에는 각 구단의 보호 지역 변경도 없었다. 1978년 요코하마 이전과 함께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로 이름을 바꿨으며 이후 연고지(구장) 변경도 없다.
2009년 1월 1일, 일본 프로패셔널 야구 협약 개정에 따라 리그 사무국과 심판부, 기록부는 커미셔너 사무국, 퍼시픽 리그 사무국과 통합되어 커미셔너 직속의 ‘센트럴 리그 운영부’, ‘심판부’, ‘기록부’가 되었고, 리그 회장직은 폐지되었다.[38]
2013년부터 개막에 앞서 도쿄 빅 사이트에서 ‘센트럴 리그 팬미팅’을 개최하고 있다.
2019년 11월 11일, JERA와 타이틀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2020년부터 3년으로, 리그 경기에서는 ‘JERA 센트럴 리그’의 명칭이 사용된다.[39]
구단명 | 연혁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한신 타이거스 | |
주니치 드래곤즈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
2. 1. 탄생 배경 (1949년)
1949년 이전까지 단일 리그로 운영되던 일본 프로 야구는 새로운 야구팀의 리그 가맹 문제를 둘러싼 논쟁으로 인해 일본 야구 연맹이 분열되었다. 가맹에 반대하던 요미우리 자이언츠(거인, 巨人|교진일본어), 쇼치쿠 로빈스(松竹ロビンス일본어), 주니치 드래건스(1951년 ~ 1953년 사이에는 ‘나고야 드래건스’라는 이름 사용)를 중심으로, 오사카 타이거스[36], 새롭게 참여한 다이요 웨일스(大洋ホエールズ일본어), 히로시마 카프, 니시닛폰 파이레츠(西日本パイレーツ일본어)가 합세하여 총 7개 구단으로 '''센트럴 야구 연맹'''을 발족했다. 발족 당시 오다큐 전철이 구단을 소유하여 센트럴 리그에 가입, 8구단 체제로 운영할 계획이었으나[37] 무산되었다.이듬해 1950년 1월, 고쿠테쓰 스왈로스(国鉄スワローズ일본어)가 합류하면서 8개 구단이 되었다.
2. 2. 1950년대 ~ 1970년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V9 시대
1949년 센트럴 야구 연맹(이하 센트럴 리그)이 발족된 이후, 1950년에는 국철 스왈로스가 합류하여 8개 구단 체제가 되었다. 같은 해 마쓰타케 로빈스가 센트럴 리그 초대 우승팀이 되었지만, 1950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마이니치 오리온스에게 패배했다.[6]1951년부터 1959년까지는 수하라 시게오(水原茂) 감독이 이끄는 요미우리 자이언츠(巨人)의 제2차 황금기였다. 일본 시리즈에서도 1951년부터 1953년까지, 그리고 1955년에 걸쳐 쓰루오카 카즈토(鶴岡一人) 감독이 이끄는 난카이 호크스(南海)를 압도하며 4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1956년부터 1958년까지는 미하라 오사무(三原脩) 감독이 이끄는 니시테츠 라이온스(西鉄)에게 3년 연속 패배했고, 1959년에도 스기우라 타다시(杉浦忠)가 속한 난카이 호크스에게 4전 전패를 당했다.[6]
1951년 1월 10일, 센트럴 리그 대표자 회의를 앞두고 경영 위기에 직면했던 히로시마와 니시니혼 파이리츠를 정리하는 구상이 떠올랐으나, 당일 회의에서는 문제를 미루었다.[7] 결국 시즌 개막 직전 니시니혼 파이리츠가 퍼시픽 리그의 니시테츠 클리퍼스와 합병하여 탈퇴했다. 1952년 시즌 종료 후에는 다이요 호에일즈와 쇼치쿠 로빈스가 합병하여 "다이요 쇼치쿠 로빈스"를 결성, 6개 구단이 되었다. 1951년 8월 19일에는 나고야 구장(중일 스타디움)이 전소되어 4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중경상자가 발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1954년에는 주니치 드래곤스(中日)가 스기시타 시게루(杉下茂)를 앞세워 구단 최초로 리그 우승을 거두었고, 1954년 일본 시리즈에서도 니시테츠 라이온스를 꺾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59년 6월 25일 거인 대 오사카전(고라쿠엔 구장)에서 프로야구 사상 최초의 천람 경기(天覧試合)가 개최되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 거인의 오 사다하루(王貞治)와 나가시마 시게오(長嶋茂雄)가 야구계의 스타 선수로 떠올랐고, 무라야마 미노루(村山実), 진 바키(ジーン・バッキー), 가네다 마사이치(金田正一) 등과 명승부를 펼쳤다.
2. 3.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히로시마 카프의 돌풍과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부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돌풍을 일으켰고,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다시 강팀으로 부활하였다.2. 4. 1990년대: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황금기
1965년 5월 시즌 중, 국철 스왈로스는 산케이 스왈로스가 되었지만(1962년 산케이 신문과의 업무 제휴 이후, 경영권은 실질적으로 국철에서 산케이로 이전되었음), 1970년에는 야쿠르트로 경영권이 이전되어 야쿠르트 아톰스가 되었다.[3] 1973년에는 주니치 스타디움의 경영권을 둘러싼 공갈 사건(주니치 스타디움 사건)이 발생했다.[3]2. 5. 2000년대 이후: 경쟁 심화와 새로운 변화
2007년, 센트럴 리그는 상위 3개 팀이 일본 시리즈 진출을 놓고 경쟁하는 클라이맥스 시리즈(Climax Series)를 도입했다.[1] 이는 2004년 퍼시픽 리그에서 도입된 플레이오프 방식을 본뜬 것으로, 이전까지는 페넌트 우승팀이 자동적으로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다.2020년부터 2021년까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으로 인해 경기 운영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20] 2020년에는 경기 수가 120경기로 축소되었고, 관중 수도 195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20] 2020년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중지되었으며, 외국인 선수 수급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2022년 7월에는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경기가 6경기 연속 연기되기도 했다.[21]
경영 면에서는 요코하마 스타디움이 6,000석 이상 증설되고, DeNA가 구장 운영회사를 인수하면서 재무적 기반을 강화했다.[22] DeNA는 마케팅 전략의 성공으로 인기 구단으로 성장했다.[22] 한편, 야쿠르트의 홈구장인 메이지 진구 야구장은 2031년까지 사용될 예정이다. 요미우리 신문은 쓰키지 시장 부지에 2030년대 신구장 건설 계획[23]과 관련된 본거지 이전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다.[24]
2022년 12월부터는 "현역 드래프트"가 시작되어, 2023년 시즌에는 다케 켄타로(한신, 12승 2패), 호소카와 나리야(주니치, 24홈런) 등 이적 선수들이 좋은 활약을 보였다.[25] 2024년 시즌부터는 2군 리그에 시즈오카(웨스턴 리그)와 니가타(이스턴 리그) 두 구단이 새롭게 참가했다.[25]
2022년에는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56홈런과 삼관왕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2연패를 이끌었다.
"인기 있는 세 리그"라는 별칭처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한신 타이거스는 센트럴 리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구단이다. 센트럴 리그의 관중 동원 수는 전통적으로 퍼시픽 리그보다 많았으며, 자이언츠와 타이거스가 1, 2위를 차지해 왔다.[20] 그러나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히로시마가 관중 동원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35]
3. 소속 구단
일본프로야구 리그 중 하나인 센트럴 리그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한신 타이거스, 주니치 드래곤즈,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6개 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이언츠, 한신, 주니치 3개 구단은 전쟁 이전에 창단되어 현재까지 모회사가 바뀌지 않고 존속하는 오래된 구단이다. 현존하는 6개 구단 모두 태평양 벨트(동해도·산요 신칸센 연선)에 본거지 구장을 두고 있으며, 히로시마를 제외한 5개 구단은 3대 도시권(수도권, 긴키권, 주쿄권)에 위치한다. 특히 자이언츠, 야쿠르트, DeNA 3개 구단은 수도권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팀 로고 | 팀 | 일본어 이름 | 창단[2] | 연고지 | 구장 | 구단주 |
---|---|---|---|---|---|---|
주니치 드래곤즈(Chunichi Dragons) | 中日ドラゴンズ|주니치 도라곤즈일본어 | 1936년 1월 15일 | 나고야 히가시구, 아이치현 | 반테린 돔 나고야 | 주니치 신문 | |
한신 타이거스(Hanshin Tigers) | 阪神タイガース|한신 다이가스일본어 | 1935년 12월 10일 | 니시노미야시, 효고현 | 한신 고시엔 구장 | 한큐 한신 홀딩스 | |
히로시마 도요 카프(Hiroshima Toyo Carp) | 広島東洋カープ|히로시마 도요 카푸일본어 | 1949년 12월 5일 | 히로시마 미나미구, 히로시마현 | MAZDA 스타디움 히로시마 | 마쓰다 가문 [66.7%] 마쓰다 [33.3%]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Tokyo Yakult Swallows) | 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도쿄 야쿠루토 스와로즈일본어 | 1950년 1월 12일 | 도쿄도 신주쿠 | 메이지 진구 구장 | 야쿠르트 본사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Yokohama DeNA BayStars)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요코하마 DeNA 베이스터즈일본어 | 1949년 12월 15일 | 요코하마 나카구, 가나가와현 | 요코하마 스타디움 | DeNA | |
요미우리 자이언츠(Yomiuri Giants) | 読売ジャイアンツ|요미우리 자이안쓰일본어 | 1934년 12월 26일 | 도쿄도 분쿄 | 도쿄 돔 | 요미우리 신문 |
3. 1. 현재 소속 구단
팀 로고 | 팀 | 일본어 이름 | 창단[2] | 연고지 | 구장 | 구단주 |
---|---|---|---|---|---|---|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読売ジャイアンツ|요미우리 자이언츠일본어 (Yomiuri Giants) | 1934년 | 도쿄도 | 도쿄 돔 | 요미우리 신문 |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일본어 (Tokyo Yakult Swallows) | 1950년 | 도쿄도 | 메이지 진구 야구장 | 야쿠르트 본사 |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横浜DeNAベイスターズ|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일본어 (Yokohama DeNA BayStars) | 1949년 | 가나가와현 | 요코하마 스타디움 | DeNA |
![]() | 주니치 드래건스 | 中日ドラゴンズ|주니치 드래건스일본어 (Chunichi Dragons) | 1936년 | 아이치현 | 나고야 돔(반테린 돔 나고야) | 주니치 신문 |
한신 타이거스 | 阪神タイガース|한신 타이거스일본어 (Hanshin Tigers) | 1935년 | 효고현 | 한신 고시엔 구장 | 한큐 한신 홀딩스 | |
![]()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広島東洋カープ|히로시마 도요 카프일본어 (Hiroshima Toyo Carp) | 1949년 | 히로시마현 |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 마쓰다 가문 [66.7%] 마쓰다 [33.3%] |
3. 2. 과거 소속 구단
쇼치쿠 로빈스는 1936년에 창단되어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센트럴 리그에 소속되었던 구단이다. 일본어 표기는 松竹ロビンス일본어, 영어 표기는 Shochiku Robins이다. 센트럴 리그에서 한 차례 우승했으며, 통산 성적은 372경기 185승 176패 11무, 승률 .512이다.[7] 1953년 시즌 개막 전에 다이요 호에일즈와 합병하여 '''다이요 쇼치쿠 로빈스'''가 되었다.니시닛폰 파이레츠는 1950년 한 해 동안 센트럴 리그에 소속되었던 구단이다. 일본어 표기는 西日本パイレーツ일본어, 영어 표기는 Nishinippon Pirates이다. 센트럴 리그 우승 기록은 없으며, 통산 성적은 136경기 50승 83패 3무, 승률 .376이다.[7] 1951년 시즌 개막 전에 니시테쓰 클리퍼스와 합병하여 퍼시픽 리그로 이동하였고, 합병 구단명은 '''니시테쓰 라이온스'''였다.
구단 | 일본어·영어 표기 | 창단 연도 | 우승 횟수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
쇼치쿠 로빈스 (1950년 ~ 1952년) | 松竹ロビンス일본어 (Shochiku Robins) | 1936년 | 1 | 372 | 185 | 176 | 11 | .512 |
니시닛폰 파이레츠 (1950년) | 西日本パイレーツ일본어 (Nishinippon Pirates) | 1950년 | 0 | 136 | 50 | 83 | 3 | .376 |
4. 경기 방식
센트럴 리그의 경기 방식은 다음과 같이 변화해 왔다.
=== 정규 시즌 ===
1952년 프랜차이즈 제도 도입 이후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원칙적으로 각각 절반씩의 경기를 치른다.
년도 | 경기 수 | 내역 | 비고 | |
---|---|---|---|---|
리그전 | 교류전 | |||
1950 | 140 | 20×7 | - | |
1951-1952 | 120 | 20×6 | ||
1953-1962 | 130 | 26×5 | ||
1963-1965 | 140 | 28×5 | ||
1966-1996 | 130 | 26×5 | ||
1997-2000 | 135 | 27×5 | ※1 | |
2001-2004 | 140 | 28×5 | ||
2005-2006 | 146 | 22×5 | 6×6 | |
2007-2014 | 144 | 24×5 | 4×6 | |
2015-2019, 2021- | 143 | 25×5 | 3×6 | ※1, ※2 |
2020 | 120 | 24×5 | - |
- ※1: 1997년~2000년과 2015년~2019년, 2021년 이후 (리그 간 대결)은 총 경기 수가 홀수이므로, 대전 카드 중 한쪽이 홈 경기를 1경기 더 치르는 형식(전자는 14경기, 후자는 13경기)이다. 1경기 증가분의 홈팀은 2년 단위로 매년 번갈아 가며 정해진다.
- ※2: 2015년 이후의 세·파 교류전은 3경기씩 치르므로, 대전 카드마다 매년 번갈아 홈팀을 바꾼다.
- 2024년의 정규 시즌은 2025년 시즌과 홈경기와 원정경기를 3팀씩 바꿔서 실시한다.
=== 무승부 ===
- 무승부 재경기 제도 실시 연도: 1962년, 1966년~1968년, 1990년~2000년
- 무승부를 0.5승으로 계산하여 승률을 정한 시즌: 1956년~1961년
년도 | 내용 |
---|---|
1950년~1951년 | |
1952년~1954년 5월 24일까지 | |
1954년 5월 25일~같은 해 종료까지 | |
1955년~1958년 | |
1959년~1962년 | |
1963년 | |
1964년~1965년 | |
1966년~1967년 | |
1968년~1970년 | |
1971년 | |
1972년~1973년 | |
1974년~1982년 | |
1983년~1987년 | |
1988년~1989년 | |
1990년~2000년 | |
2001년~2010년 | |
2011년~2012년 | |
2013년~2019년 | |
2020년 | |
2021년 | |
2022년 |
=== 순위 결정 방법 ===
- 2000년 이전에는 승률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으며, 승률이 동률인 경우에만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을 결정했다.
- 2001년에는 예외적으로 승리 수가 많은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단, 승리 수 1위 팀과 승률 1위 팀이 다를 경우 3전 2승제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을 결정했다.
- 2002년부터는 다시 승률 순으로 변경되었다. 단, 승률 3위 이내에 승리 수 1위 팀이 따로 있을 경우 3전 2승제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을 결정했다. 이 제도는 2006년까지 유지되었다.
- 2007년부터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제도가 되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결과와 관계없이 정규 시즌 순위가 최종 순위가 된다).
## 정규 시즌 승률
## 1이 동률인 경우, 승리 수가 많은 팀이 상위
## 2도 동률인 경우, 해당 구단 간의 상대 전적에서 승률이 높은 순
## 3도 동률인 경우, 전년도 순위 상위
- 2022년부터 일부 개정이 이루어져 승률 1위 구단이 복수일 경우, 상기 3과 4 사이에 "같은 리그 참가팀(2022년도: 6팀 25회 총 당 125경기) 중 승률이 높은 쪽을 상위로 한다"는 규칙이 정해졌으며, 이에 따라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31]
## 정규 시즌 승률
## 1이 동률인 경우, 승리 수가 많은 팀이 상위
## 2도 동률인 경우, 해당 구단 간의 상대 전적에서 승률이 높은 순
## 3도 동률인 경우, 같은 리그 참가팀 간의 총 당 대결에서 승률이 높은 순
## 4도 동률인 경우, 전년도 순위 상위
- 퍼시픽 리그와는 달리, 연간 승률 1위 구단이 우승을 놓친 경우는 지금까지 발생하지 않았다.
규정상의 경기 횟수이지만, 여러 사정으로 공식 경기를 일부 중지한 연도가 있다.
- 1950년: 일본 시리즈 일정 관계로 일부 경기 중지.
- 1951년: 히로시마 카프가 존속 문제로 3월 29일~4월 6일 참가를 보류하여 이 기간의 히로시마전 중지. 또한, 같은 해 10월 20일부터 예정되어 있던 미일 야구 일정 관계로 10월 9일에 페넌트레이스를 조기 종료.
- 1953년: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미국 원정으로 3월 28일~4월 9일까지 불참하고,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기 때문에, 같은 해 10월 17일부터 개최되는 미국 메이저리그 원정팀과의 교류 경기 일정 관계상, 요미우리 자이언츠 대 국철 스왈로스전 5경기를 남기고 페넌트레이스를 조기 종료.
- 2004년: 선수회가 구단 합병 동결 등을 요구한 프로야구 파업을 9월 18일과 19일에 실시했기 때문에, 같은 날 예정되어 있던 모든 경기를 중지.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대의 영향으로 개막이 약 3개월 연기되어 시즌 일정을 재검토. 교류전이 중지되는 등 일부 일정이 변경되어, 당초 143경기에서 120경기로 경기 수를 감소.
우천 등 자연재해로 인한 경기 개최 여부 결정권은 원칙적으로 8월 하순까지는 경기 시작 전 선수 교체 시점까지 해당 경기 주관 구단, 그 이후는 심판단의 판단에 따르지만, 시즌 후반 이후에는 선수 교체 시점의 전후를 불문하고 연맹 측으로 이양된다. 이를 연맹 관리절이라고 한다.
2020-23년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선수의 코로나 감염 가능성을 고려하여 모든 경기가 연맹 관리절이었다.[32]
4. 1. 정규 시즌
1952년 프랜차이즈(홈 타운) 제도가 도입된 이후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원칙적으로 각각 절반씩의 경기를 치른다.년도 | 경기 수 | 내역 | 비고 | |
---|---|---|---|---|
리그전 | 교류전 | |||
1950 | 140 | 20×7 | - | |
1951-1952 | 120 | 20×6 | ||
1953-1962 | 130 | 26×5 | ||
1963-1965 | 140 | 28×5 | ||
1966-1996 | 130 | 26×5 | ||
1997-2000 | 135 | 27×5 | ※1 | |
2001-2004 | 140 | 28×5 | ||
2005-2006 | 146 | 22×5 | 6×6 | |
2007-2014 | 144 | 24×5 | 4×6 | |
2015-2019 | 143 | 25×5 | 3×6 | ※1、※2 |
2020 | 120 | 24×5 | - | |
2021- | 143 | 25×5 | 3×6 | ※1、※2 |
- 1997년 - 2000년과 2015년 - 2019년, 2021년 - (리그 간의 대결)은 총당이 홀수 회가 되므로, 대결 카드 중 한쪽이 홈 게임을 1경기 더 치르는 형식(전자는 14경기, 후자는 13경기)이다. 1경기 증가분의 홈팀은 2년 단위로 매년 번갈아 가며 정해진다.
- 2015년 이후의 세・파 교류전은 3회 총당이가 되므로, 대결 카드마다 매년 번갈아 홈팀을 바꾼다.
- 2024년의 정규 시즌은 2025년 시즌과 홈경기와 원정경기를 3팀씩 바꿔서 실시한다.
; 무승부에 대한 처리
- 무승부 재경기 제도 실시 연도: 1962년, 1966년 - 1968년, 1990년 - 2000년
- 무승부를 0.5승 0.5패로 승률 계산한 연도: 1956년 - 1961년
규정상의 대결 횟수이지만, 여러 사정으로 공식 경기를 일부 중지한 연도가 있다.
- 1950년: 일본 시리즈 일정 관계로 일부 경기 중지.
- 1951년: 히로시마 카프가 존속 문제로 제1절(3월 29일 - 4월 6일) 참가를 보류. 이 기간의 히로시마전 중지. 또한, 같은 해 10월 20일부터 예정되어 있던 미일 야구 일정 관계로 10월 9일에 페넌트레이스를 조기 종료.
- 1953년: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미국 원정으로 제1~3절 중간(3월 28일 - 4월 9일)까지 불참하고,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기 때문에, 같은 해 10월 17일부터 개최되는 미국 메이저리그 원정팀과의 교류 경기 일정 관계상, 요미우리 자이언츠 대 국철 스왈로스전 5경기를 남기고 페넌트레이스를 조기 종료.
- 2004년: 선수회가 구단 합병 동결 등을 요구한 프로야구 파업을 9월 18일과 19일에 실시했기 때문에, 같은 날 예정되어 있던 모든 경기를 중지.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대의 영향으로 개막이 약 3개월 연기되어 시즌 일정을 재검토. 교류전이 중지되는 등 일부 일정이 변경되어, 당초 143경기에서 120경기로 경기 수를 감소.
년도 | 내용 |
---|---|
1950년 - 1951년 | |
1952년 - 1954년 5월 24일까지 | |
1954년 5월 25일 - 같은 해 종료까지 | |
1955년 - 1958년 | |
1959년 - 1962년 | |
1963년 | |
1964년 - 1965년 | |
1966년 - 1967년 | |
1968년 - 1970년 | |
1971년 | |
1972년 - 1973년 | |
1974년 - 1982년 | |
1983년 - 1987년 | |
1988년 - 1989년 | |
1990년 - 2000년 | |
2001년 - 2010년 | |
2011년 - 2012년 | |
2013년 - 2019년 | |
2020년 | |
2021년 | |
2022년 |
4. 2. 무승부
- 무승부 재경기 제도 실시 연도: 1962년, 1966년 ~ 1968년, 1990년 ~ 2000년
- 무승부를 0.5승으로 계산하여 승률을 정한 시즌: 1956년 ~ 1961년
년도 | 내용 |
---|---|
1950년 ~ 1951년 | |
1952년 ~ 1954년 5월 24일까지 | |
1954년 5월 25일 ~ 같은 해 종료까지 | |
1955년 ~ 1958년 | |
1959년 ~ 1962년 | |
1963년 | |
1964년 ~ 1965년 | |
1966년 ~ 1967년 | |
1968년 ~ 1970년 | |
1971년 | |
1972년 ~ 1973년 | |
1974년 ~ 1982년 | |
1983년 ~ 1987년 | |
1988년 ~ 1989년 | |
1990년 ~ 2000년 | |
2001년 ~ 2010년 | |
2011년 ~ 2012년 | |
2013년 ~ 2019년 | |
2020년 | |
2021년 | |
2022년 |
4. 3. 순위 결정 방법
- 2000년 이전에는 승률순으로 순위를 결정했으며, 승률이 동률인 경우에만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을 결정했다.
- 2001년에는 예외적으로 승리 수가 많은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단, 승리 수 1위 팀과 승률 1위 팀이 다를 경우 3전 2승제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을 결정했다.
- 2002년부터는 다시 승률순으로 변경되었다. 단, 승률 3위 이내에 승리 수 1위 팀이 따로 있을 경우 3전 2승제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을 결정했다. 이 제도는 2006년까지 유지되었다.
- 2007년부터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제도가 되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결과와 관계없이 정규 시즌 순위가 최종 순위가 된다).
## 정규 시즌 승률
## 1이 동률인 경우, 승리 수가 많은 팀이 상위
## 2도 동률인 경우, 해당 구단 간의 상대 전적에서 승률이 높은 순
## 3도 동률인 경우, 전년도 순위 상위
- 2022년부터 일부 개정이 이루어져 승률 1위 구단이 복수일 경우, 상기 3과 4 사이에 "같은 리그 참가팀(2022년도: 6팀 25회 총 당 125경기) 중 승률이 높은 쪽을 상위로 한다"는 규칙이 정해졌으며, 이에 따라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31]
## 정규 시즌 승률
## 1이 동률인 경우, 승리 수가 많은 팀이 상위
## 2도 동률인 경우, 해당 구단 간의 상대 전적에서 승률이 높은 순
## 3도 동률인 경우, 같은 리그 참가팀 간의 총 당 대결에서 승률이 높은 순
## 4도 동률인 경우, 전년도 순위 상위
- 퍼시픽 리그와는 달리, 연간 승률 1위 구단이 우승을 놓친 경우는 지금까지 발생하지 않았다.
;무승부에 관한 취급
- 무승부재경기 제도를 실시한 연도: 1962년, 1966년 ~ 1968년, 1990년 ~ 2000년
- 무승부를 0.5승으로 두어 승률을 계산한 시즌: 1956년 ~ 1960년
연도 | 내용 |
---|---|
1950년 ~ 1951년 | |
1952년 ~ 1954년 5월 24일까지 | |
1954년 5월 25일 ~ 같은 해 폐막까지 | |
1955년 ~ 1958년 | |
1959년 ~ 1962년 | |
1963년 | |
1964년 ~ 1965년 | |
1966년 ~ 1967년 | |
1968년 ~ 1970년 | |
1971년 | |
1972년 ~ 1973년 | |
1974년 ~ 1982년 | |
1983년 ~ 1987년 | |
1988년 ~ 1989년 | |
1990년 ~ 2000년 | |
2001년 ~ 2010년 | |
2011년 ~ 2012년 | |
2013년 ~ 2019년 | |
2020년 | |
2021년 |
5.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4년 프로야구 재편 문제 이후 2007년부터 센트럴 리그는 플레이오프 제도를 대신하여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도입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리그 1위 팀에게 어드밴티지를 부여하고, 리그 2위와 3위 팀이 먼저 경기를 치러 승리 팀이 리그 1위 팀과 최종 시리즈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다음은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한 팀들의 목록이다.
연도 | 진출팀 |
---|---|
2007 | 주니치 드래건스 |
2008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09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10 | 주니치 드래건스 |
2011 | 주니치 드래건스 |
2012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13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14 | 한신 타이거스 |
2015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2016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2017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2018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2019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20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21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2022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2023 | 한신 타이거스 |
2024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5. 1. 진행 방식
6. 역대 리그 우승 구단 및 감독
'''굵은 글씨'''는 그해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의미함.
연도 | 소속 | 감독 | 시즌 성적 |
---|---|---|---|
1950년 | 쇼치쿠 로빈스 | 고니시 도쿠로 | 98승 4무 35패 |
1951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미즈하라 시게루 | 79승 6무 29패 |
1952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미즈하라 시게루 | 83승 37패 |
1953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미즈하라 시게루 | 87승 1무 37패 |
1954년 | 주니치 드래건스 | 아마치 슌이치 | 86승 4무 40패 |
1955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미즈하라 노부시게 | 92승 1무 37패 |
1956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미즈하라 노부시게 | 82승 4무 44패 |
1957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미즈하라 노부시게 | 74승 3무 53패 |
1958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미즈하라 노부시게 | 77승 1무 52패 |
1959년[44]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미즈하라 노부시게 | 77승 5무 48패 |
1960년 | 다이요 웨일스 | 미하라 오사무 | 70승 4무 56패 |
1961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71승 6무 53패 |
1962년 | 한신 타이거스 | 후지모토 사다요시 | 75승 3무 55패 |
1963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83승 2무 55패 |
1964년 | 한신 타이거스 | 후지모토 사다요시 | 80승 4무 56패 |
1965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91승 2무 47패 |
1966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89승 4무 41패 |
1967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84승 4무 46패 |
1968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77승 4무 53패 |
1969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73승 6무 51패 |
1970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79승 4무 47패 |
1971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70승 8무 52패 |
1972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74승 4무 52패 |
1973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가와카미 데쓰하루 | 66승 4무 60패 |
1974년 | 주니치 드래건스 | 요나미네 가나메 | 70승 11무 49패 |
1975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고바 다케시 | 72승 11무 47패 |
1976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나가시마 시게오 | 76승 9무 45패 |
1977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나가시마 시게오 | 80승 4무 46패 |
1978년 | 야쿠르트 스왈로스 | 히로오카 다쓰로 | 68승 16무 46패 |
1979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고바 다케시 | 67승 13무 50패 |
1980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고바 다케시 | 73승 13무 44패 |
1981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후지타 모토시 | 73승 9무 48패 |
1982년 | 주니치 드래건스 | 곤도 사다오 | 64승 19무 47패 |
1983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후지타 모토시 | 72승 8무 50패 |
1984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고바 다케시 | 75승 10무 45패 |
1985년 | 한신 타이거스 | 요시다 요시오 | 74승 7무 49패 |
1986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아난 준로 | 73승 11무 46패 |
1987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오 사다하루 | 76승 11무 43패 |
1988년 | 주니치 드래건스 | 호시노 센이치 | 79승 5무 46패 |
1989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후지타 모토시 | 84승 2무 44패 |
1990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후지타 모토시 | 88승 42패 |
1991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야마모토 고지 | 74승 2무 56패 |
1992년 | 야쿠르트 스왈로스 | 노무라 가쓰야 | 69승 1무 61패 |
1993년 | 야쿠르트 스왈로스 | 노무라 가쓰야 | 80승 2무 50패 |
1994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나가시마 시게오 | 70승 60패 |
1995년 | 야쿠르트 스왈로스 | 노무라 가쓰야 | 82승 48패 |
1996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나가시마 시게오 | 77승 53패 |
1997년 | 야쿠르트 스왈로스 | 노무라 가쓰야 | 83승 2무 52패 |
1998년 |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 곤도 히로시 | 79승 1무 56패 |
1999년 | 주니치 드래건스 | 호시노 센이치 | 81승 54패 |
2000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나가시마 시게오 | 78승 57패 |
2001년[45] | 야쿠르트 스왈로스 | 와카마쓰 쓰토무 | 76승 6무 58패 |
2002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라 다쓰노리 | 86승 2무 52패 |
2003년 | 한신 타이거스 | 호시노 센이치 | 87승 2무 51패 |
2004년 | 주니치 드래건스 | 오치아이 히로미쓰 | 79승 3무 56패 |
2005년 | 한신 타이거스 | 오카다 아키노부 | 87승 5무 54패 |
2006년 | 주니치 드래건스 | 오치아이 히로미쓰 | 87승 5무 54패 |
2007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46] | 하라 다쓰노리 | 80승 1무 63패 |
2008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라 다쓰노리 | 84승 3무 57패 |
2009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47] | 하라 다쓰노리 | 89승 9무 46패 |
2010년 | 주니치 드래건스 | 오치아이 히로미쓰 | 79승 3무 62패 |
2011년 | 주니치 드래건스 | 오치아이 히로미쓰 | 75승 10무 59패 |
2012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라 다쓰노리 | 86승 15무 43패 |
2013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라 다쓰노리 | 84승 7무 53패 |
2014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라 다쓰노리 | 82승 1무 61패 |
2015년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마나카 미쓰루 | 76승 2무 65패 |
2016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오가타 고이치 | 89승 2무 52패 |
2017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오가타 고이치 | 88승 4무 51패 |
2018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오가타 고이치 | 82승 2무 59패 |
2019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라 다쓰노리 | 77승 2무 64패 |
2020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라 다쓰노리 | 67승 8무 45패 |
2021년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다카쓰 신고 | 73승 18무 52패 |
2022년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다카쓰 신고 | 80승 4무 59패 |
2023년 | 한신 타이거스 | 오카다 아키노부 | 85승 5무 53패 |
2024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아베 신노스케 | 77승 7무 59패 |
구단 | 우승 연도 | 횟수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1951, 1952, 1953, 1955, 1956, 1957, 1958, 1959, 1961, 1963,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6, 1977, 1981, 1983, 1987, 1989, 1990, 1994, 1996, 2000, 2002, 2007, 2008, 2009, 2012, 2013, 2014, 2019, 2020, 2024 | 39회 |
주니치 드래건스 | 1954, 1974, 1982, 1988, 1999, 2004, 2006, 2010, 2011 | 9회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1975, 1979, 1980, 1984, 1986, 1991, 2016, 2017, 2018 | 9회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1978, 1992, 1993, 1995, 1997, 2001, 2015, 2021, 2022 | 9회 |
한신 타이거스 | 1962, 1964, 1985, 2003, 2005, 2023 | 6회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1960, 1998 | 2회 |
- '''굵은 글씨'''는 일본 시리즈 우승 연도
7. 기타
2019년 11월 11일 JERA와 타이틀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여, 2020년부터 3년간 "'''JERA 센트럴 리그'''"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3]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관중 동원이 크게 줄었다. 2020년에는 120경기만 개최되어 1952년 이후 68년 만에 규모가 축소되었고, 입장자 수는 195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20] 또한,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중지되고 외국인 선수 입국 제한으로 계약 및 일본 입국, 귀국이 어려워 선수와 가족의 정신적 문제로 출전 경기 수가 줄어드는 일도 있었다. 2022년 7월에는 오미크론 변이의 영향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경기가 6경기 연속 연기[21]되는 등 큰 영향을 받았다.
경영 면에서는 요코하마 스타디움이 6,000석 이상 증설되고, DeNA의 구장 운영회사 인수로 재무 면이 강화되었다. DeNA는 마케팅 전략 성공으로 인기 구단이 되었다.[22] 현재의 진구 구장은 2031년까지 사용 예정이다.
요미우리 신문그룹 본사가 관계하는 쓰키지 시장 터의 2030년대 신구장 건설 계획[23]에 관련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본거지 이전에 대해서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다.[24]
2022년 12월부터 "현역 드래프트"가 시작되어, 2023년 시즌에는 전 소프트뱅크의 다케 켄타로(한신)가 12승 2패, 전 DeNA의 호소카와 나리야(중일)가 24홈런을 기록하는 등 이적 후 활약을 보였다. 2024년 시즌부터는 하부 2군 리그에 시즈오카(웨스턴), 니가타(이스턴) 두 구단이 참가한다.[25]
참조
[1]
웹사이트
SUZUKI, Ryuji,
http://english.baseb[...]
2015-03-27
[2]
웹사이트
球団別インデックス | NPB.jp 日本野球機構
https://npb.jp/teams[...]
Npb.jp
2022-08-23
[3]
뉴스
NPBニュース
https://npb.jp/news/[...]
[4]
웹사이트
(일본 야구 관련 내용)
[5]
뉴스
(일본 신문 기사)
朝日新聞
1949-11-27
[6]
웹사이트
(일본 야구 선수 및 리그 관련 내용)
[7]
뉴스
서일본, 히로시마의 정리 문제 연기
朝日新聞
1951-01-11
[8]
웹사이트
(일본 야구 관련 내용 - 로케이션 변경)
[9]
웹사이트
(2003년 일본 시리즈 관련 내용)
[10]
웹사이트
(2023년 일본 시리즈 관련 내용)
[11]
웹사이트
(후지타 모토지 감독 관련 내용)
[12]
웹사이트
(하라 다쓰노리 감독 2기 관련 내용)
[13]
웹사이트
https://www.sanspo.c[...]
[14]
웹사이트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관련 내용)
[15]
웹사이트
(20세기 동일본 프로야구 중계 관련 내용)
[16]
웹사이트
(일본 야구 중계 방송사 관련 내용)
[17]
뉴스
세, 파 양 사무국이 폐국
https://web.archive.[...]
산케이 스포츠
2008-12-27
[18]
웹사이트
(일본 야구 선수 및 리그 관련 내용)
[19]
웹사이트
https://npb.jp/stati[...]
[20]
웹사이트
https://npb.jp/stati[...]
[21]
웹사이트
https://www.sponichi[...]
[22]
웹사이트
https://forbesjapan.[...]
[23]
웹사이트
https://www.mitsuifu[...]
[24]
웹사이트
https://www.nikkansp[...]
[25]
웹사이트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 관련 내용)
[26]
웹사이트
(일본 야구 연장전 관련 내용)
[27]
웹사이트
(2014년 일본 야구 더블헤더 관련 내용)
[28]
웹사이트
세 리그의 더블헤더에 대해
http://www.npb.or.jp[...]
[29]
웹사이트
(일본 야구 코로나19 관련 내용)
[30]
웹사이트
(일본 야구 우승 결정 방법 관련 내용)
[31]
뉴스
세 리그, 우승 결정 방법 변경 리그내의 대전 승률도
https://www.nikkei.c[...]
일본경제신문
[32]
뉴스
야구 NPB 올해는 27일부터 「연맹 관리」 경기 거행의 가부 등 연맹이 판단
https://www.sponichi[...]
스포츠 닛폰
[33]
웹사이트
세 리그 챔피언 엔블럼 완성 알림
https://npb.jp/npb/2[...]
일본야구기구
2012-01-30
[34]
웹사이트
https://npb.jp/stati[...]
[35]
웹사이트
https://npb.jp/stati[...]
[36]
뉴스
[37]
뉴스
아사히 신문
아사히 신문
1949-11-27
[38]
웹사이트
세, 파 양 사무국이 폐국
https://web.archive.[...]
산케이 스포츠
2008-12-27
[39]
웹사이트
2020년도 JERA 센트럴 리그 공식전 상세 일정 발표
http://npb.jp/news/d[...]
일본 야구 기구
2019-12-16
[40]
뉴스
[41]
뉴스
[42]
웹사이트
세 리그의 더블헤더에 대해서
http://www.npb.or.jp[...]
일본 야구 기구
[43]
뉴스
[44]
뉴스
[45]
뉴스
[46]
뉴스
[47]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